DATABASE 52

[Oracle] 오라클 대소문자 변환 함수 UPPER(), LOWER(), INITCAP()

대소문자 변환 함수 UPPER(), LOWER(), INITCAP() - UPPER()는 함수 안의 글자를 대문자로 출력해줍니다. - LOWER()는 함수 안의 글자를 소문자로 출력해줍니다. - INITCAP()은 첫 번째 글자만 대문자로 출력하고 나머지 글자는 소문자로 출력해줍니다. UPPER(), LOWER(), INITCAP() 문법 SELECT UPPER(컬럼1), LOWER(컬럼2), INITCAP(컬럼3) FROM 테이블; - 대소문자 변환 함수는 조건절 WHERE에 사용하여 테이블 내 특정 문자 데이터를 검색하고자 할 때 데이터가 대문자인지 소문자인지 확실하지 않을 때 정확한 데이터 검색을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. UPPER(), LOWER(), INITCAP() 테스트(https://li..

[Oracle] 오라클 문자열 붙이기 CONCAT()과 연결 연산자 ||

CONCAT()과 연결 연산자 || - CONCAT()과 연결 연산자 || 는 둘다 컬럼과 컬럼을 서로 연결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 CONCAT()과 연결연산자 || 문법 SELECT CONCAT(컬럼1, 컬럼2), 컬럼1 || 컬럼2 FROM 테이블; - 연결하고자 하는 컬럼을 CONCAT() 안에 넣거나, 컬럼과 컬럼 사이의 || 을 사용하여 줍니다. CONCAT()과 연결연산자 || 테스트(https://livesql.oracle.com/) 1) CONCAT() 사용방법 - CONCAT()은 두 개의 컬럼만 이을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컬럼을 합쳐서 출력하고 싶다면 CONCAT()을 한번 더 사용해야 합니다. - 컬럼 별칭 AS는 맨 마지막에 사용해야 합니다. 2) 연결 연산자 || 사용 -..

[Oracle] 오라클 컬럼 별칭 AS 사용법

AS(Alias) - AS는 컬럼에 임시 이름 즉, 별칭을 주어 출력되는 컬럼명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. AS 문법 SELECT 컬럼1 AS 별칭명 컬럼2 AS "Column Alias" FROM 테이블; - 컬럼 다음에 AS를 사용하고 출력하고 싶은 컬럼명을 기술한다. ※ AS 사용시 쌍따옴표("")를 사용하는 경우 1)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출력할 때 2) 공백문자를 출력할 때 3) 특수문자를 출력할 때 AS 테스트(https://livesql.oracle.com/) 1) AS 사용 전 2) AS 사용 후 - 그룹 함수로 인해 길게 나온 컬럼명을 AS를 사용하면 보다 보기 쉽게 바꿀 수 있다.

[Oracle] 오라클 그룹화 GROUP BY절

GROUP BY - GROUP BY절은 그룹 함수(SUM, MAX, MIN, COUNT, AVG)를 사용할 때 같은 데이터끼리 그룹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. GROUP BY 문법 SELECT 컬럼1, COUNT(컬럼2) FROM 테이블 GROUP BY 컬럼1; GROUP BY 테스트(https://livesql.oracle.com/) ※ 테스트 데이터 - 2022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365개의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을 사용하였음 - 데이터 CREATE문과 INSERT문 : https://javabuilders.tistory.com/24 1) GROUP BY를 사용하여 월별 일의 갯수(COUNT) 조회 +갯수 함수 COUNT() 포스팅 : https://javabuilders.tistory.c..

[Oracle] 오라클 평균 조회 AVG() 함수

AVG() 함수 - AVG() 함수는 테이블에 조회되는 값의 평균을 구할 수 있습니다. AVG() 문법 SELECT AVG(컬럼) FROM 테이블; AVG() 함수 테스트(https://livesql.oracle.com/) ※ 테스트 데이터 - 2022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365개의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을 사용하였음 - 데이터 CREATE문과 INSERT문 : https://javabuilders.tistory.com/24 1) 평균값 조회 - GROUP_TEST의 DAY의 모든 값들의 평균값 : 15.72054.......... 2) 평균값 검증 - 합계 함수(SUM)와 갯수 함수(COUNT)를 이용하여 데이터 검증 DAY의 합계 : 5738 DAY의 갯수 : 365 DAY의 평균 = ..

[Oracle] 오라클 합계 조회 SUM() 함수

SUM() 함수 - SUM() 함수는 테이블에 조회되는 값의 합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. SUM() 문법 SELECT SUM(컬럼) FROM 테이블; SUM() 함수 테스트(https://livesql.oracle.com/) ※ 테스트 데이터 - 2022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365개의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을 사용하였음 - 데이터 CREATE문과 INSERT문 : https://javabuilders.tistory.com/24 1) 합계 조회 - GROUP_TEST의 DAY의 모든 값들의 합계 : 5738 2) 데이터의 조건(WHERE)을 넣은 합계 조회 - GROUP_TEST 테이블의 조건(WHERE)을 추가하여 1월부터 3월의 데이터중 날짜들의 합계을 조회

[Oracle] 오라클 최댓값, 최솟값 조회 MAX()와 MIN() 함수

MAX(), MIN() 함수 - MAX()와 MIN() 함수는 테이블에 조회되는 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한다. MAX(), MIN() 문법 SELECT MAX(컬럼), MIN(컬럼) FROM 테이블; MAX(), MIN() 함수 테스트(https://livesql.oracle.com/) ※ 테스트 데이터 - 2022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365개의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을 사용하였음 - 데이터 CREATE문과 INSERT문 : https://javabuilders.tistory.com/24 1) 최댓값과 최솟값 조회 - GROUP_TEST의 ID 최댓값 조회 : 365 - GROUP_TEST의 ID 최솟값 조회 : 1 2) 데이터의 조건(WHERE)을 넣은 최댓값, 최솟값 조회 - GROU..

[Oracle] 오라클 갯수 조회 COUNT() 함수

COUNT() 함수 - COUNT는 테이블을 조회할 때 데이터의 수가 얼마나 있는지 조회할 때 사용한다. COUNT() 문법 SELECT COUNT(컬럼) FROM 테이블; COUNT() 함수 테스트(https://livesql.oracle.com/) ※ 테스트 데이터 - 2022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365개의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을 사용하였음 - 데이터 CREATE문과 INSERT문 : https://javabuilders.tistory.com/24 1) 데이터의 전체 갯수 조회 - GROUP_TEST 테이블의 전체 갯수 조회 : 365개 2) 데이터의 조건(WHERE)을 넣은 갯수 조회 - GROUP_TEST 테이블의 1월의 갯수 조회 : 31개 3) 특정 컬럼의 종류의 갯수 조회 -..

[Oracle]오라클 테스트 데이터2(그룹함수용)

오라클 데이터 베이스 테스트용 데이터 - 집계함수를 테스트하기 위한 복붙용 데이터를 만들었습니다. - 테이블은 2022년도의 날짜를 담고 있습니다. - 컬럼은 아이디, 년도, 월, 일, 날짜입니다. CREATE문 CREATE TABLE CALENDAR ( ID NUMBER NOT NULL CONSTRAINT CALENDAR_PK PRIMARY KEY, YEAR NUMBER, MONTH NUMBER, DAY NUMBER, FULLDATE VARCHAR(10) ); INSERT문 INSERT ALL INTO CALENDAR VALUES(1, 2022, 1, 1, '2022/01/01') INTO CALENDAR VALUES(2, 2022, 1, 2, '2022/01/02') INTO CALENDAR VALU..

[Oracle]오라클 순서 정렬 ORDER BY절

ORDER BY절 - ORDER BY는 데이터의 순서를 정렬할 때 사용합니다. ORDER BY절 문법 SELECT 컬럼 FROM 테이블 WHERE 조건식 ORDER BY 컬럼1 [ASC or DESC], 컬럼2 [ASC or DESC] ... ; - 위와 같이 ORDER BY는 쿼리문 맨 마지막에 사용합니다. - 정렬방식은 오름차순인 ASC(ascending sort)와 내림차순인 DESC(descending sort) 두가지가 있습니다. ORDER BY절 테스트(https://livesql.oracle.com/) 1) ORDER BY 오름차순 ASC 테스트 - ANIMAL의 DATETIME을 오름차순으로 정렬(ASC는 생략가능) 2) ORDER BY 내림차순 DESC 테스트 - ANIMAL의 DATET..